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눅스 파일 시스템
- RHEL7
- 보안취약점 조치
- CentOS
- 계정관리
- vi /etc/pam.d/system-auth
- 리눅스 서버 보안
- 서버 보안취약점 조치
- 리눅스 보안
- 서비스관리
- 서버보안
- yum remove
- ubuntu
- FDISK
- 리눅스보안
- 서버 보안
- 보안 취약점 조치
- centos보안
- centOS7.8
- Linux
- Virtual Box
- 보안취약점조치
- Cent OS7.8
- 리눅스 서버 보안취약점
- 그룹삭제
- RHCSA
- 가상머신
- 보안취약점
- 리눅스
- 리눅스 서버보안
- Today
- Total
목록리눅스 (11)
엔지니어 은성의 성장록
목차 클러스터 개념 LVS HA HPC ▶ 클러스터 개념 : 적은 비용으로 거대한 규모로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즉 여러 대의 시스템을 연결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된 시스템 LVS (Linux Virtual Server, 부하분산) 클러스터: 대규모 서비스 서버 접근하는 이용자가 많을 때 서비스를 부하 분산하기 위해 이용, 대규모 서비스를 위한 목적 여러 대의 리얼 서버 (Real Server)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하 분산(로드 밸런싱) 가능 웹 서버에서 주로 사용 레이어 4 스위칭을 이용하고 웹서버나 메일 서버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의 load sharing을 가능하게 함 HA (High Availability Cluster) 고가용성 클러스터 keypoing : 백업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포스팅순서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ps, ps -옵션 ps -ef pstree 프로세스 연결구조 트리형식으로 출력 프로세스에게 전달하는 메세지 시그널 kill -9 , -15 pid 프로세스 종료 프로세스 죽이기 pkill 리눅스 프로세스 우선순위 snice, nice ▶ 현재 터미널과 관련된 프로세스 정보 확인 ps 옵션 설명 -a 실행 중인 프로세스 중 제어 터미널을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 출력 -e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를 출력 -f PID, PPID 포함 정보 출력 -l -f 옵션보다 더 자세한 정보 출력 -u 사용자 이름과 프로세스가 시작된 시간 출력 -x 터미널에 종속되지않은 프로세스 출력 ▶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세스 명령어 옵션 ps -ef pid : 프로세스 식별번..
▶ gzip, gunzip gzip 압축 명령어 gunzip 압축 해제 명령어 gzip을 이용한 압축은. gz 확장자를 가짐 ▶ bzip2, bunzip2 bzip2 압축 명령어 bunzip2 ] bzip2로 압축된 파일을 압축 해제하는 명령어 bzip2를 이용한 압축은 기본적으로 .bz2 확장자를 가짐 압축 효율이 뛰어남 ▶ tar (tape archive)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음 압축 X, 여러개 파일을 하나의 이름으로 묶는 역할 옵션 -z을 같이 사용하면 묶음과 동시에 gzip으로 압축 O ▶ gzip [option] [파일 이름] . gz 확장자를 가진 압축파일 생성, 압축을 하면 원본 파일은 사라지게 된다. 옵션 설명 -n n은 1부터 9사이의 숫자를 지정 1은 가장 빠른 압축, 9는 가장 느..

▶ 파일의 퍼미션 변경 사용방법 # chomod [mod] [파일 이름] ; 상대 모드 , 절대 모드를 통해 파일의 퍼미션 변경 ▶ 상대 모드 (symbolick method ) 기호 의미 u user g group o other a all + 추가 - 삭제 = 지정 s 소유자 또는 그룹만 실행 r 읽기 w 쓰기 x 실행 # chmod o+rw file1 # ls -l file1 # chomod a+x,g-r file1 # ls - l ▶ 절대 모드 (수로 표현) 777 소유자(user) 그룹(group) 나머지(other) r w x r w x r w x 4 2 1 4 2 1 4 2 1 2^2 2^1 2^0 2^2 2^1 2^0 2^2 2^1 2^0 ▶ 절대 모드 예시 # rwxrw-r-- 764 소유..

# cd / # ls / (root) : 최상위 디렉터리이며, 모든 디렉터리는 /를 기준으로 생성된다.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이자 다른 파티션의 연결점 /bin : (바이너리 디렉터리) 시스템 사용을 위한 기본 명령어 존재하고 싱글모드로 부팅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와 시스템을 복구할 때 사용하는 필수 명령어가 존재 /boot: 부팅에 필요한 커널과 부팅할 때 필요한 핵심 파일이 들어있다. /dev : 장치 파일이 위치한다. /etc : 시스템 시작파일을 포함한 시스템 환경설정에 필요한 설정 파일이 존재한다. /home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생성되는 곳 ftp, mysql, tomcat 등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위한 디렉터리도 사용 가능하다. /lib : 시스템 운영 및 프로그램을 구동할 때 ..

▶ 리눅스 파일 시스템 개요 - 파일 데이터의 집합 정규 파일 (regular file) : 텍스트 파일, 바이너리 파일 디렉터리 특수파일 : 장치(device) 파일, 파이프 파일 등 # ls -l - 파일 목록의 첫 번째 글자가 파일의 유형을 보여준다. - : 정규 파일 d : 디렉터리 c, b, p : 특수 파일( character device, block device, pipe) ㅣ : 링크 -rw------- : 파일의 유형 및 허가권 1 : 파일의 링크 수 root : 파일의 소유자 root : 파일의 그룹 1423 : 파일의 크기 Sep 6 04:15 파일의 변경 날짜 ▶ 파일의 소유권 파일 사용자의 세 가지 유형, 각 유형에 따라 사용권한을 다르게 할 수 있음, 파일의 소유권은 슈퍼 사용자..

▶ 6가지 리눅스 본딩 모드 정리 Dynamic Link Aggregation mode = 0 : 기본 본딩 타입으로 첫 번째 인터페이스에서 마지막 인터페이스까지 Round- Robin Policy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장애 허용 시스템과 부하 분산 특징을 제공합니다. * falut tolerant system :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에서 결함이나 고장이 발생하여도 정상적 혹은 부분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mode = 1 : 이 본딩 타입은 Active -Backup policy를 따릅니다. (오직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Active) 하고 한쪽에 결함이 생기면 다른 쪽이 Activate 활성화됩니다. 이 모드는 장애 허용을 제공합니다. mode = 2 : 이 본딩 타입은 부..

개발자가 서비스를 모니터링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명령어인 ifconfig부터 알아보겠습니다. ifconfig는 interface configutaion의 약자로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 유틸리티입니다. ifconfig는 현재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표시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주소, 넷 마스크, broadcast 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별칭을 만들고, 하드웨어 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등 다양한 곳에서 쓰입니다.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확인 ifconfig 단지 ifconfig만 입력했을때는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볼 수는 없습니다. [enp0s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flags] : 네트워크 카드의 상태 표시 [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