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Virtual Box
- 서비스관리
- 리눅스 파일 시스템
- 보안취약점 조치
- 계정관리
- FDISK
- 리눅스보안
- 보안취약점
- centos보안
- yum remove
- 서버보안
- 리눅스 서버보안
- 가상머신
- RHCSA
- 서버 보안취약점 조치
- 리눅스 보안
- 리눅스 서버 보안
- 보안 취약점 조치
- 리눅스
- ubuntu
- CentOS
- 리눅스 서버 보안취약점
- 서버 보안
- vi /etc/pam.d/system-auth
- 보안취약점조치
- 그룹삭제
- centOS7.8
- Cent OS7.8
- RHEL7
- Linux
- Today
- Total
목록서버 (24)
엔지니어 은성의 성장록

기본적으 다 체크하고 vm ware 설치 시작 ! vm ware 에 rhel 올려서 보안 취약점 조치방법을 공부할 생각입니다. google에 free key를 쳐서 입력한다음 다운로드 완료! DVD 파일 설치 후 설치시작

▶ 환경 VM : virtual box OS : cent OS 7.8 와 host PC window 연결 ▶ 세팅 (1) 사용자 sadmin : 모든 공유에 대한 읽기, 및 쓰기 액세스 권한을 가진 관리 사용자 ensungkim : 개인 파일 공유를 가진 일반 사용자 (2) 공유 users : 이 공유는 모든 사용자에 의해 읽기/쓰기가 가능하다. ensungkim : 이 공유는 ensungkim과 sadmin에 의해 읽기/쓰기가 가능하다. ▶ 사전 준비 : sudo 권한으로 로그인 1. Samba 설치 # sudo yum install samba samba-client 2. Samba 서비스 시작, 시스템 부팅 시 자동시작으로 세팅 # sudo systemctl start smb.service # sud..

▶ 치환 방법 :시작행, 끝행 s/원래 문자열/변경 문자열/옵션 ▶ 시작행, 끝 행 지정방법 기본적으로 시작행과 끝행은 숫자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1~10 -> 1,10s 현재 커서가 위치한 행은 '.'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행은 '$'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현재행부터 마지막행까지 :.,$s % 는 전체 행을 나타냅니다. ▶옵션 종류 g : 한 행에 원래 문자열에 해당하는 패턴이 여러 번 나오면 전체에서 패턴 모두 변경 i : 대 소문자 구분하지 않습니다. c : 치환 시 사용자 확인 ▶예제 1~10행의 모든 Hello를 Bye로 변경 :1,10s/HELLO/BYE/g 문서 전체의 모든 Hello를 Bye로 변경 :%s/HELLO/bye/s 현재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의 모든 Hello를 Bye로..

1, /etc/fstb 설정 2. reboot or remount 3. quota database 설정 4 . 사용자 개인별 quota 설정 5. 시스템 적용(쿼터 활성화) ▶ 디스크 사용량 할당 quota ▶ 디스크 사용량 할당 (Quota) 1. 패키지 확인 및 패키지 설치 # rpm -qa quota 패키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만약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 yum -y install quota로 설치하기! 2. /etc/fstab 설정 Disk Quota 설정하기 위해서는 Quota를 설정할 파티션에 옵션을 주어야 함 사용자 계정에 대한 용량 제한일 경우 usrquota 그룹에 대한 용량 제한일 경우 grpquota 등의 옵션 추가 3. reboot or remount Quota 기능을 추가한 후에는..
포스팅 순서 &연산자 백그라운드 실행 jobs 명령어 ,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는 프로세스 확인 fg %1 포그라운드 전환 bg %1 백그라운드 전환 다른 tty 전환 (로그아웃해도 작업실행) # nohub command ▶ & 연산자 (백그라운드 실행) 포그라운드에서 명령어 입력 후 &를 붙이게 되면 작업 번호와 PID를 출력하고 다음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됩니다. 백그라운드 작업은 키보드 입력 없이 프로세스 장시간 실행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이며 시스템 부팅 시에 동작하는 대부분의 프로세스들은 이러한 백그라운드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스는 앞에서 배운 kill명령어로 종료 가능합니다. # mc& -> mc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로 실행, 작업 번호와 PID가 ..

포스팅순서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ps, ps -옵션 ps -ef pstree 프로세스 연결구조 트리형식으로 출력 프로세스에게 전달하는 메세지 시그널 kill -9 , -15 pid 프로세스 종료 프로세스 죽이기 pkill 리눅스 프로세스 우선순위 snice, nice ▶ 현재 터미널과 관련된 프로세스 정보 확인 ps 옵션 설명 -a 실행 중인 프로세스 중 제어 터미널을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 출력 -e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를 출력 -f PID, PPID 포함 정보 출력 -l -f 옵션보다 더 자세한 정보 출력 -u 사용자 이름과 프로세스가 시작된 시간 출력 -x 터미널에 종속되지않은 프로세스 출력 ▶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세스 명령어 옵션 ps -ef pid : 프로세스 식별번..

▶fdisk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파티션 테이블 관련 명령어 하드 디스크 용량 부족으로 새로운 하드 디스크를 추가할 경우 리눅스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게 파티션을 생성하고 파일 시스템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fdisk, parted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fdisk -l //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테이블 확인 # fdisk [하드 디스크 장치 이름] // 지정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생성, 수정, 삭제 옵션 설명 a 부팅 파티션을 설정 d 파티션 삭제 l 설정 가능한 파티션 타입 출력 m 파티션 설정 도움말 출력 n 새로운 파티션 생성 p 현재 설정되어있는 파티션 정보 출력 t 파티션 타입 변경 q fdisk메뉴에서 빠져나가기 w 작업 내용 저장 ▶mke..

▶ 프로세스 - 실행 중인 상태의 프로그램 - 리눅스 최초의 프로세스는 init 프로세스 /sbin/init - 부팅할 때 init프로세스를 만들고 -> login 프로세스 생성 -> login 프롬프트 보여주고 사용자의 로그인 입력 처리 - 로그인이 성공하면 login 프로세스는 쉘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 쉘 프로세스는 쉘 프롬프트를 보여주고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다. -> 사용자가 프로그램 입력을 입력하면 쉘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부모 프로세스, 자식 프로세스 - 자신을 만든 프로세스 : 부모 프로세스 - 자신이 마든 프로세스 : 자식 프로세스 ▶ 프로세스 시분할 시스템, 우선순위 - 여러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적재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작은 시간 동안 차례대로 수행되는데 사람이 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