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눅스보안
- centOS7.8
- 보안취약점 조치
- 가상머신
- 서비스관리
- 그룹삭제
- 리눅스
- 리눅스 보안
- CentOS
- 보안취약점
- Linux
- Cent OS7.8
- 보안 취약점 조치
- yum remove
- 리눅스 서버 보안
- RHEL7
- 리눅스 서버보안
- 서버 보안취약점 조치
- 리눅스 서버 보안취약점
- RHCSA
- 보안취약점조치
- 리눅스 파일 시스템
- centos보안
- ubuntu
- 계정관리
- Virtual Box
- 서버보안
- vi /etc/pam.d/system-auth
- 서버 보안
- FDISK
- Today
- Total
목록서버/리눅스 (8)
엔지니어 은성의 성장록

▶ 환경 VM : virtual box OS : cent OS 7.8 와 host PC window 연결 ▶ 세팅 (1) 사용자 sadmin : 모든 공유에 대한 읽기, 및 쓰기 액세스 권한을 가진 관리 사용자 ensungkim : 개인 파일 공유를 가진 일반 사용자 (2) 공유 users : 이 공유는 모든 사용자에 의해 읽기/쓰기가 가능하다. ensungkim : 이 공유는 ensungkim과 sadmin에 의해 읽기/쓰기가 가능하다. ▶ 사전 준비 : sudo 권한으로 로그인 1. Samba 설치 # sudo yum install samba samba-client 2. Samba 서비스 시작, 시스템 부팅 시 자동시작으로 세팅 # sudo systemctl start smb.service # sud..

▶ 치환 방법 :시작행, 끝행 s/원래 문자열/변경 문자열/옵션 ▶ 시작행, 끝 행 지정방법 기본적으로 시작행과 끝행은 숫자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1~10 -> 1,10s 현재 커서가 위치한 행은 '.'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행은 '$'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현재행부터 마지막행까지 :.,$s % 는 전체 행을 나타냅니다. ▶옵션 종류 g : 한 행에 원래 문자열에 해당하는 패턴이 여러 번 나오면 전체에서 패턴 모두 변경 i : 대 소문자 구분하지 않습니다. c : 치환 시 사용자 확인 ▶예제 1~10행의 모든 Hello를 Bye로 변경 :1,10s/HELLO/BYE/g 문서 전체의 모든 Hello를 Bye로 변경 :%s/HELLO/bye/s 현재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의 모든 Hello를 Bye로..

▶fdisk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파티션 테이블 관련 명령어 하드 디스크 용량 부족으로 새로운 하드 디스크를 추가할 경우 리눅스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게 파티션을 생성하고 파일 시스템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fdisk, parted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fdisk -l //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테이블 확인 # fdisk [하드 디스크 장치 이름] // 지정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생성, 수정, 삭제 옵션 설명 a 부팅 파티션을 설정 d 파티션 삭제 l 설정 가능한 파티션 타입 출력 m 파티션 설정 도움말 출력 n 새로운 파티션 생성 p 현재 설정되어있는 파티션 정보 출력 t 파티션 타입 변경 q fdisk메뉴에서 빠져나가기 w 작업 내용 저장 ▶mke..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IP를 사용합니다. 고정 IP는 왜 필요한 것일까요? IP로 폴더나 프린터를 공유해서 사용할 때 자동 설정 IP를 사용하면 컴퓨터 재부팅 시 IP가 자동으로 변경되어 공유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곳이라면 이런 경우를 방지하고 관리하고자 컴퓨터를 고정 IP로 설정하게 됩니다. 또 서버를 운영하는 사업체라면 꼭 고정 IP를 사용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바로 보안 유지 때문입니다. 운영하는 서버에 허용된 IP만을 접속하게 하면서 보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눅스 ubuntu 운영체제에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을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정 ip를 설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IP주소, 네트워크 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가장 먼저 준비되어야 하는 것은 사용자 계정이 있어야 하고, 두 개 이상의 인터페이스 어댑터가 이용 가능해야 합니다. ▶Temporary bonding 가장 먼저 본딩 모듈을 설치해야 합니다. 리눅스에서 빠르게 command- line shell을 여는 방법은 Ctrl + Alt + T이니 잊지 마세요~! $ sudo modprobe bonding modprobe 명령어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modprobe 명령어는 리눅스 프로그램으로서 적재 가능 커널 모듈(LKM)을 리눅스 커널에 추가하거나 커널로부터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modprobe는 기본적인 유틸리티인 insmod와 rmmod보다 더 완전한 다용도 적인 특징을 갖습니다. $ lsmod | grep bond - 본딩 모듈 설치 확인 본딩이 없..

▶ 6가지 리눅스 본딩 모드 정리 Dynamic Link Aggregation mode = 0 : 기본 본딩 타입으로 첫 번째 인터페이스에서 마지막 인터페이스까지 Round- Robin Policy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장애 허용 시스템과 부하 분산 특징을 제공합니다. * falut tolerant system :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에서 결함이나 고장이 발생하여도 정상적 혹은 부분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mode = 1 : 이 본딩 타입은 Active -Backup policy를 따릅니다. (오직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Active) 하고 한쪽에 결함이 생기면 다른 쪽이 Activate 활성화됩니다. 이 모드는 장애 허용을 제공합니다. mode = 2 : 이 본딩 타입은 부..

▶서버 티밍 (teaming) : window 서버 랜카드 이중화하는 기술로 여러개의 서버 LAN 카드를 하나로 묶는 구성 ▶ 서버 티밍 Teaming 순서 서버 한대에 LAN 카드 2개를 장착후 두개의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두개의 LAN카드를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IP Address를 세팅합니다. 서버는 인터넷을 하기위해 Active 케이블 쪽으로 통신을 하다가 Active 케이블이나 LAN 카드#1이 장애가 났을때 stanby 쪽으로 통신을 넘겨서 하게 됩니다. 따라서 한쪽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다른 stanby쪽으로 통신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니 통신이 단절되거나 장애가 생기지 않습니다. 이것을 Windows 서버에서 티밍(Teaming) LAN 이중화라고 합니다. 경우에 따라 서버 LAN카드에서 Ac..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1. 입력장치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서 컴퓨터에 무언가 처리 요청이 들어옵니다. 2. 메모리에 있는 명령어를 읽어 CPU에서 실행하고 그 결과값을 다시 메모리에 다른 영역에 기록합니다. 3. 메모리의 데이터를 하드디스트나 SSD 등의 저장장치에 기록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등의 출력장치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결과값을 보여줍니다. 이 순서를 반복해서 사용자에게 하나의 처리 기능으로 정리한것을 프로그램 이라고 한다. 프로그램의 종류 1.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직접 사용, 컴퓨터 오피스 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있는 앱 2. 미들웨어 : 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처리를 묶어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도와줌 웹 서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