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rpm] 리눅스(Linux) rpm 명령어 장점 & 옵션 정리

엔지니어 은성 2021. 9. 23. 09:49
포스팅 순서
  1. rpm 
  2. rpm 장점
  3. rpm 옵션
  4. rpm 패키지 설치 rpm -i
  5. rpm 패키지 제거  rpm -e
  6. rpm 패키지 질의  rpm -q

 



▶ RPM (Redhat Package Manager)

  • Redhat 계열의 리눅스는 RPM 형태의 바이너리 패키지로 배포가 됨 
  • RPM이란 Red Hat에서 만든 패키지 배포 및 관리 프로그램으로 리눅스 소스 및 컴파일된 프로그램의 배포, 업그레이드 관리 등을 쉽게 하기 위해 프로그램과 설정 파일 등을 하나로 묶어 만든 것을 말함

RPM의 장점

  • 쉬운 패키지 설치/제거 가능
  • 패키지 업그레이드 간단
  • 설치 시간이 컴파일하는 경우 빠름
  • 패키지의 검증이 가능 
  • 질의를 통하여 패키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 확인 가능

RPM [옵션] [rpm패키지 파일 이름]

옵션 설명
-v 설치되는 패키지 메세지 출력
-vv 자세한 디버깅 정보 출력
-h 패키지 설치할때 해시마크 # 출력
-U 패키지를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i 옵션과 함께 사용할 수 없음 
--replacepkgs 패키지를 교체, 패키지가 설치되어있어도 다시 설치
--replacefiles 동일한 파일명이 있으면 교체
--oldpackage 예전 패키지로 교체할 때 사용
--force --replacepkgs, --replacefiles, --oldpackage 옵션을 모두 사용
--percent 패키지 파일 설치할때 퍼센트 표시
--includedocs 문서 파일 포함
--excludedocs 문서파일은 설치하지 않음
--nodeps 패키지의 의존성을 무시
--aid 의존성을 검사하여 의존성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
--test 패키지를 실제로 설치하지 않고 충돌사항을 점검하여 보고 

 


rpm 패키지 설치 rpm -ivh --[옵션]

  1. 일반적인 패키지 설치 rpm -ivh [패키지 파일]
  2. 설치되어있는 패키지 교체 rpm -ivh [패키지 파일] --replacepkgs
  3. 의존성 에러 존재 시 무시하고 설치할 경우 rpm -ivh [패키지 파일] --nodeps
  4. 의존성 에러 존재 시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들을 먼저 설치한 후 자동으로 설치 rpm -ivh [패키지 파일] --aid
  5. 기존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하기 rpm -Uvh [패키지 파일]

rpm 패키지 제거 rpm -e

  1. 일반적인 패키지 삭제 rpm -e [패키지 이름]
  2. 삭제하기 전 의존성이나 충돌 사항 점검 rpm -e [패키지 이름] --test
  3. 의존성 에러 무시하고 강제 삭제 rpm -e [패키지 이름] --nodeps

rpm 패키지 질의하기 rpm -q [option]

  1. 시스템에 설치되어있는 rpm 패키지 리스트 모두 확인 rpm -qa 
  2. 특정 패키지의 설치 여부 확인  rpm -q [패키 지명] (정확하게 확인), rpm -qa | grep [패키지에 포함된 패턴] (grep을 이용한 패턴으로 검색)
  3. 특정 파일이 속해있는 패키지 확인 rpm -qf [파일 이름]
  4. 설치된 패키지에 포함되어있는 파일 모두 출력 rpm -ql [패키 지명]
  5. 설치된 패키지 파일들의 상태 점검 rpm -qs [패키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