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리눅스
[Bonding] 리눅스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모드 6가지
엔지니어 은성
2021. 9. 2. 14:21
▶ 6가지 리눅스 본딩 모드 정리
Dynamic Link Aggregation
- mode = 0 : 기본 본딩 타입으로 첫 번째 인터페이스에서 마지막 인터페이스까지 Round- Robin Policy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장애 허용 시스템과 부하 분산 특징을 제공합니다. * falut tolerant system :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에서 결함이나 고장이 발생하여도 정상적 혹은 부분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mode = 1 : 이 본딩 타입은 Active -Backup policy를 따릅니다. (오직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Active) 하고 한쪽에 결함이 생기면 다른 쪽이 Activate 활성화됩니다. 이 모드는 장애 허용을 제공합니다.
- mode = 2 : 이 본딩 타입은 부하분산과 장애 허용의 특징을 제공합니다. 소스 MAC 주소와 목적지 MAC 주소의 XOR 연산을 수행하는 XOR 모드를 세팅합니다. 2 -> MAC 주소 XOR 연산 수행
- mode = 3 : 모드 3은 broadcast 정책을 기반으로 합니다. 따라서 모든 패킷을 모든 인터페이스에 전달하게 됩니다. 이 모드는 전형적인 모드 방식은 아니고 특정한 상황에서만 적용하게 됩니다. 특정한 상황은 랜카드가 절대로 죽어서는 안 되고 패킷이 절대로 없어지면 안 되는 서버에서 사용된다.
- mode = 4 : /LACP : 802.3ad (link aggregation)
- mode = 5 : (balance - tlb) 이더넷 디바이스 중 부하가 낮은 장치를 선택해서 패킷을 보내며 수신은 특정 장치로 지정한다.
- mode = 6 : (balance -alt) 송수신 모두 부하가 낮은 장치를 체크해서 사용한다.
▶ 리눅스 네트워크 본딩 정리표
모드번호 | 모드 종류 | 설명 |
0 | balance -rr | 네트워크 카드를 번갈아가며 패킷을 송신한다. 첫번째 가능한 슬레이브부터 마지막까지 순차적으로 전송 active -active, 이론상 슬레이브 수만큼 배수대로 대역폭 확장가능 |
1 |
active-backup | 여러개의 네트워크 카드(NIC)로 구성된 bond내에 한개의 Active Slave를 통해서만 통신을 합니다. Active Slave에 해당하는 NIC가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Slave NIC가 Active로 전환되어 통신을 재개합니다. Failover 장애허용이 되며 설정에 따라 Failback이 진행될수 있습니다. |
2 | balance-xor | 네트워크 부하 분산 통신을 지원합니다. 소스와 목적지 MAC을 xor연산하여 사용할 NIC를 결정하여 통신합니다. |
3 | broadcast | 모든 Slave NIC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Fault Tolerance 모드 |
4 | 802.3ad | 네트워크 부하 통신을 지원합니다. 802.3a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Dynamic Link Aggregation을 구성합니다. IEEE 802.3ad 동적 링크 애그리게이션 LACP |
5 | balance-tlb | adaptive transmit load balancing 네트워크 부하 통신을 지원합니다. 송신 패킷 부하 분산. |
6 | balance-alb | 적응형 부하 분산 active load balancing 네트워브 부하 통신을 지원합니다. 송수신 패킷 부하 분산 |
* Dynamic Link Aggregation : 대역폭 확장과 다중화(redundancy) 제공하기 위해 여러 네트워크 연결을 병렬로 연결하는 방식, 하나의 고대역 데이터 경로를 만들어주며 트래픽 부하 분산을 구현하고 연결의 신뢰성을 강화한다.
포괄적인 용어 trunking, bundling, bonding, channeling, teaming이라고 함